전체 글 251

항암제에 대해 알아보자

* 항암제는 크게 세종류로 나눈다, 1. 세포독성항암제 : 일반 항암제(또는 표준 항암제)라고 부르기도 한다. 머리카락이 빠지는 경우가 많다. 부작용이 심하다.       이 항암제들의 역사는 좀 오래 되었다. 이 항암제들은 인체 세포 중 빨리 자라는 세포의 분열을 방해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정상 세포 중 빨리 자라는 세포도 방해를 받아 부작용이 매우 크디       삶의 에너지을 빼앗는 듯하다.  탁솔 계통, 백금계 항암제2. 표적항암제 : 변이된 특정 유전자를 고치는 항암제이다.     머리카락은 빠지지 않지만 피부발진이 많다. 가끔 설사도 있다. 주로 먹는 약이 많다.     폐암인 경우 이레사, 타그리소 등 종류가 매우 많다.3. 면역항암제 : 환자의  망가진 면역기능을 회복하는 것..

우선 순위 : 잘 먹고 잘 싸고 잘 자고 그리고 걷기 4. 걷기

걷기는 환자들에게는 직업이다. 모든 활동에 우선한다. 집이 지저분해도, 설것이가 많이 쌓여도 일단 걷고 나서 집안 일을 한다. 집안 일을 우선적으로 하다가는 걸을 시간이 없다. 애들이 밥달라고 해도 배달시켜 주고 걸으면 된다. 스트레칭도 걷고 나서 힘이 나면 한다. 사실 요가나 스트레칭을 먼저 하고 나서 걷는 것이 좋기는 하지만 요가하다 힘빠져서 걷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두 개 다 할 체력이 되지 않는다면 걷기를 먼저 선택해야 한다. 걷는 요령에 대해서는 맨 앞의 게시글에 올렸으니 읽어 보면 된다. 부가할 사항은 등산(걷기) 시 준비할 것들이다. 1. 동네 공원을 걷는 것이 아니라 동네 뒷산(경사가 있는 곳)을 가더라도 한 시간 이상 걸을 경우 반드시 스틱을 들고 간다. 항암을 하다보면 근육을 약하게 ..

우선 순위 : 잘 먹고 잘 싸고 잘 자고 그리고 걷기 3. 잘 자기

암환자들은 어느 정도 다 불안증 환자라고 생각하면 편하다. 그래서 맘 편히 자는 분은 별로 없다. 그러나 특정한 항암제는 불면증을 유발하기도 한다. 내가 맞은 아바스틴이 불면증을 유발하기로 유명한데 딱 하루정도 불면증이 온다. 그날은 소화도 잘 안되니 먹는 양을 약간 줄이고 많이 걷는다. 그러면 약간 피로한 느낌이 들며 좀 잘 수 있다. 항암제 부작용 때문에 잠이 잘 오지 않는 경우는 오래 지속되지 않는다. 항암제 맞고 이틀 정도 지속되는데 너무 힘들면 이때는 수면제를 처방 받는데 장기간 수면제를 먹는 것은 좋지 않다. 또 항암제 주기에 따른 불면증이 아니라 늘 불면증이 있으면 의사와 상의하고 수면제를 처방 받는 것이 좋다. 늘 잠이 부족하면 심리적으로도 힘들고 신체면역도 많이 떨어진다. 불면증에 도움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