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59

암 1,2,3기 환자가 주의할 점과 재발 방지를 위한 제언

* 암 1,2,3기 환자가 주의할 점 암4기 환자와는 달리 암 1,2,3기 환자는 '치료의 끝'이 있다. 수술만, 수술과 항암, 수술과 방사선과 같은 치료를 하고 일단 치료를 끝낸다. 그러면 환자들은 다 암이 완치되었다고 생각하고 다시 자신의 일상으로 돌아간다. 그런데 냉정하게 생각해 보면 암이란 병은 감염이나 사고로 생긴 병이 아니다. 감염이면 세균 감염이던지 바이러스 감염이던지 들어 온 감염 원인을 제거하면 다시 일상으로 돌아 갈수 있다. 또 사고로 다친 경우도 마찬가지로 후유증이 있더라도 굳이 본인이 크게 노력해야 하는 것은 없다. 물론 재활치료라는 것이 있지만 재활치료를 평생하는 경우는 드물다. 그러나 암은 자신의 유전자, 오랜 생활 습관, 환경 요인으로 생긴 병이다. 사실 딱히 어떤 것이 주원인..

폭염 시작

드디어 폭염이 시작되었다. 환자들은 걷기가 힘들어졌다. 그래서 나는 요즘에는 새벽에 나가 걷는다. 새벽 6시쯤 공원에 가보면 공원이 거의 꽉 차있다. 대부분이 어르신들인데 가끔 엄마에게 끌려 나온 젊은이들도 보인다. 얼굴 표정이 불만이 가득하지만 그래도 끌려 나왔다는 것이 대견해 보인다. 우리 딸들은 꿈 속에서 헤매고 있다. 예전에는 너무 더울 때는 낮에 낮잠 자고 밤 10시쯤 나가 걷기도 했었다. 그 때도 공원이 사람들로 꽉 차 있었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정말 부지런하다는 생각을 하곤 했다. 예전에 알고 지내던 할아버지가 계셨는데 새벽마다 동네 야산에 갔는데 5시에 가도 본인보다 먼저 온 사람이 있어서 화가 나서 후레쉬 들고 새벽 4시에 갔는데 그래도 먼저 온 사람이 있었다고 한다. 우리나라에는 부지런..

암환자의 정체성

요즘 넷플릭스에서 미국판 '굿 닥터'를 보여주고 있다. 원래 의학 드라마를 좋아하는 성향이라 열심히 보고 있다. 자폐아인 주인공이 대인관계를 배워나가는 것을 보면서 나의 대인 관계에 대해 생각해 보기도 한다. 시즌 2가 되면서 주인공 머피의 멘토인 아론 그래스먼이 악성 뇌종양에 걸려 수술도 하고 항암치료도 받는다. 자신이 30년간 외과의로 일했던 병원에 암환자로 다니게 되니 아론은 처음에는 심리적으로 힘들어 한다. 아론은 항암치료를 하면서 젊은 환자를 만나는데 그는 빨리 '암환자 정체성'을 받아들이라고 한다. 스스로의 상태를 받아들이고 다른 환자들과 교류하는 것이 쉬울 것이라고 충고를 한다. 머피가 자폐아의 정체성을 받아들였듯이 아론도 자신의 상태를 받아들이라는 것이다. 드라마를 보면서 그동안 들었던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