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59

AZ백신 기술로 ‘항암 백신’ 만든다

항암 백신은 암세포 표면에만 나타나는 단백질의 유전자를 인체에 전달했다. 그러자 암세포를 공격하는 백혈구인 세포독성 T세포가 크게 늘어났다. 이전에도 T세포로 암을 공격하는 면역치료가 시도됐지만 원래 T세포가 적은 환자는 효과를 보지 못했다. 옥스퍼드대 연구진은 코로나 백신 기술로 T세포를 증식시켜 이 문제를 해결한 것이다. https://www.chosun.com/economy/science/2021/09/06/PDH5A62FRVGAHG4LSBCVHRIVUE/?utm_source=daum&utm_medium=referral&utm_campaign=daum-news [사이언스카페] AZ백신 기술로 ‘항암 백신’ 만든다 사이언스카페 AZ백신 기술로 항암 백신 만든다 암세포 특유의 유전자 주입해 항암세포 강..

리보세라닙(RIVOCERANIB (APATINIB))

HLB가 글로벌 권리를 보유중인 리보세라닙은 혈관내세포성장인자수용체 2(VEGFR-2)를 타켓으로하는 표적항암제로 암 조직의 신생혈관 성장을 억제하고, 암세포의 증식억제와 면역세포의 정상화을 통해 암을 치료하는 'Best-in-Class' 경구용 항암신약입니다. http://www.hlbkorea.com/business/rivoce_unite/rivoceranib/ 에이치엘비 (HLB) Best-in-class 항암제 개발, 글로벌 제약 바이오 www.hlbkorea.com 에이치엘비에 따르면 중국 상하이 폐암 전문병원에서 비소세포폐암(NSCLC)환자 25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리보세라닙과 면역항암제 캄렐리주맙의 병용 임상2상 결과를 오는 13일 구두 발표한다. 공개된 초록에 따르면 임상 결과 객관적반응율..

KAIST·삼성서울병원, 암 조직 태워 제거 '소작 바늘' 상용화

암조직을 태워서 없애는데 좀 더 효율적인 방법이 나왔다. 아직 이 방법으로 치료를 받았다는 분의 이야기를 들은 적이 없지만 선택적, 국소적으로 잘 사용할 수 있다면 유용한 선택 방법 중의 하나가 될 것 같다. 3기 환자까지는 그래도 육안으로 확인하고 모두 제거하는 수술이 좋겠지만 어차리 수술 못하는 4기 환자에서는 증상을 완화하거나 수명 연장에는 도움이 될 것 같다. https://www.yna.co.kr/view/AKR20210902073900063?input=1179m KAIST·삼성서울병원, 암 조직 태워 제거 '소작 바늘' 상용화 | 연합뉴스 (대전=연합뉴스) 박주영 기자 =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박인규 교수와 삼성서울병원 임효근 박사, 알에프메디컬 이진우 박사 공동 연구팀이 ... ww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