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88

폐암 표적 치료제들의 뇌혈관장벽 및 뇌막투과율 비교(Chatgpt)

폐암 환자에서 뇌전이(Brain Metastasis, BM) 또는 **뇌막전이(Leptomeningeal Metastasis, LM)**가 발생하면 표적 치료제의 뇌혈관장벽(BBB) 통과율이 중요한 치료 결정 요인이 됩니다. BBB를 잘 통과하는 약물일수록 뇌전이와 뇌막전이 치료 효과가 높습니다.1. EGFR TKI(티로신 키나아제 억제제)EGFR TKI세대BBB 투과율CSF/혈장 농도 비율뇌전이 치료 효과뇌막전이 치료 효과Gefitinib (Iressa)1세대낮음1~3%제한적효과 없음Erlotinib (Tarceva)1세대낮음~중간1.1~5.0%일부 효과제한적Afatinib (Gilotrif)2세대중간1.8~2.5%일부 효과제한적Osimertinib (Tagrisso)3세대높음16~30%뇌전이 치료 효..

Next Steps After Resistance to Tagrisso(Chatgpt)

Chatgpt에 여러 질문을 할 때 영어로 질문할 때와 한국어로 질문을 할 때 좀 다른 대답이 나오는 경우가 많아서 영어로 질문을 해 보았다.의학에 관련해서는 비슷하게 나오는 것 같다. ✅ Next Steps After Resistance to Tagrisso (Osimertinib) in Lung Cancer PatientsWhen a patient with EGFR-mutant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develops resistance to Tagrisso (Osimertinib), the next steps depend on the specific mechanism of resistance. The approach includes a combination of..

EGFR C797S 변이 발견 시 4세대 EGFR-TKI의 개발 현황(Chatgpt)

EGFR C797S 변이는 3세대 EGFR-TKI인 타그리소(오시머티닙) 치료 후 발생하는 주요 내성 기전 중 하나로, 이를 극복하기 위한 4세대 EGFR-TKI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1. 국내 개발 현황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의 BBT-207: EGFR C797S 변이를 타깃으로 하는 4세대 EGFR-TKI로, 2023년 4월 전임상 결과 발표 후 FDA로부터 임상 1/2상 시험계획을 승인받아 2023년 10월에 임상 1/2상 환자 투약을 개시하였습니다. ibric.org보로노이의 VRN11: C797S 돌연변이를 표적하는 치료제로, 높은 선택성과 뇌혈관장벽(BBB) 투과율을 보이며 비소세포폐암 및 뇌전이암 환자 치료를 목표로 개발 중입니다. 현재 GLP 독성 시험 진행 중이며, FDA에 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