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GFR C797S 변이는 3세대 EGFR-TKI인 타그리소(오시머티닙) 치료 후 발생하는 주요 내성 기전 중 하나로, 이를 극복하기 위한 4세대 EGFR-TKI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1. 국내 개발 현황
-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의 BBT-207: EGFR C797S 변이를 타깃으로 하는 4세대 EGFR-TKI로, 2023년 4월 전임상 결과 발표 후 FDA로부터 임상 1/2상 시험계획을 승인받아 2023년 10월에 임상 1/2상 환자 투약을 개시하였습니다.
- ibric.org
- 보로노이의 VRN11: C797S 돌연변이를 표적하는 치료제로, 높은 선택성과 뇌혈관장벽(BBB) 투과율을 보이며 비소세포폐암 및 뇌전이암 환자 치료를 목표로 개발 중입니다. 현재 GLP 독성 시험 진행 중이며, FDA에 임상 1상 IND 신청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 m.blog.naver.com
- 제이인츠바이오의 JIN-A02: 4세대 EGFR-TKI 후보물질로, 임상 1/2상을 진행 중입니다.
- pharm.edaily.co.kr
2. 글로벌 개발 현황
- 블루프린트 메디슨의 BLU-945: EGFR C797S 변이를 타깃으로 개발되었으나, 현재 임상 개발이 중단된 상태입니다.
- ibric.org
- HK이노엔의 IN-119873: EGFR의 알로스테릭 결합부위를 공략하는 4세대 EGFR-TKI로, 주요 약물 저항성 EGFR 내성변이(T790M 및 C797S 이중변이 또는 삼중변이)에서 우수한 효력을 보였으며, 뇌전이 모델에서도 뛰어난 효력을 나타냈습니다. 현재 비임상 연구 완료 후 임상 1상 시험계획(IND) 신청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inno-n.com
이러한 노력들은 EGFR C797S 변이로 인한 내성을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치료 옵션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Q1: EGFR C797S 변이를 타깃으로 하는 4세대 EGFR-TKI의 예상 부작용은 무엇인가요?
Q2: 현재 진행 중인 4세대 EGFR-TKI 임상시험에 참여하려면 어떤 조건을 충족해야 하나요?
Q3: EGFR C797S 변이 외에 타그리소 내성에 기여하는 다른 돌연변이들은 무엇이 있으며, 그에 대한 치료 전략은 어떻게 되나요?
'Chatgpt에게 물어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폐암 표적 치료제들의 뇌혈관장벽 및 뇌막투과율 비교(Chatgpt) (0) | 2025.02.13 |
---|---|
Next Steps After Resistance to Tagrisso (0) | 2025.02.11 |
EGFR C797S 돌연변이 발견 시 치료 전략 (0) | 2025.02.11 |
타그리소 내성 발생 후 가장 흔한 돌연변이 유형 (0) | 2025.02.11 |
타그리소내성 극복을 위한 최신 임상시험 결과(Chatgpt) (0) | 2025.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