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암 환자에서 뇌전이(Brain Metastasis, BM) 또는 **뇌막전이(Leptomeningeal Metastasis, LM)**가 발생하면 표적 치료제의 뇌혈관장벽(BBB) 통과율이 중요한 치료 결정 요인이 됩니다. BBB를 잘 통과하는 약물일수록 뇌전이와 뇌막전이 치료 효과가 높습니다.
1. EGFR TKI(티로신 키나아제 억제제)
EGFR TKI세대BBB 투과율CSF/혈장 농도 비율뇌전이 치료 효과뇌막전이 치료 효과
Gefitinib (Iressa) | 1세대 | 낮음 | 1~3% | 제한적 | 효과 없음 |
Erlotinib (Tarceva) | 1세대 | 낮음~중간 | 1.1~5.0% | 일부 효과 | 제한적 |
Afatinib (Gilotrif) | 2세대 | 중간 | 1.8~2.5% | 일부 효과 | 제한적 |
Osimertinib (Tagrisso) | 3세대 | 높음 | 16~30% | 뇌전이 치료 효과 우수 | 뇌막전이 치료 효과 입증됨 |
Nazartinib, Lazertinib | 3세대 | 높음 | 데이터 부족 | 뇌전이 치료 가능성 | 연구 진행 중 |
📌 **Osimertinib(3세대 EGFR TKI)**는 뇌전이 및 뇌막전이 치료에 가장 효과적인 EGFR TKI로, 표준 치료제로 사용됨.
2. ALK TKI (ALK 융합 유전자 변이 표적치료제)
ALK TKI세대BBB 투과율CSF/혈장 농도 비율뇌전이 치료 효과뇌막전이 치료 효과
Crizotinib (Xalkori) | 1세대 | 낮음 | 0.26% | 효과 제한적 | 효과 없음 |
Ceritinib (Zykadia) | 2세대 | 낮음~중간 | 3.3% | 일부 효과 | 제한적 |
Alectinib (Alecensa) | 2세대 | 높음 | 63% | 뇌전이 치료 효과 우수 | 뇌막전이 치료 가능성 있음 |
Brigatinib (Alunbrig) | 2세대 | 높음 | 데이터 부족 | 뇌전이 치료 가능성 | 연구 진행 중 |
Lorlatinib (Lorbrena) | 3세대 | 매우 높음 | 75-80% | 뇌전이 치료 효과 우수 | 뇌막전이 치료 효과 있음 |
📌 **Lorlatinib(3세대 ALK TKI)**는 뇌전이 및 뇌막전이 치료에 가장 효과적인 ALK TKI로 평가됨.
📌 **Alectinib(2세대 ALK TKI)**도 뇌전이 치료 효과가 뛰어나며, 일부 연구에서 뇌막전이에서도 효과를 보임.
3. ROS1 TKI (ROS1 융합 유전자 변이 표적치료제)
ROS1 TKI세대BBB 투과율CSF/혈장 농도 비율뇌전이 치료 효과뇌막전이 치료 효과
Crizotinib (Xalkori) | 1세대 | 낮음 | <1% | 효과 제한적 | 효과 없음 |
Entrectinib (Rozlytrek) | 2세대 | 높음 | ~30% | 뇌전이 치료 효과 우수 | 연구 진행 중 |
Repotrectinib | 2세대 | 높음 | 데이터 부족 | 연구 진행 중 | 연구 진행 중 |
📌 Entrectinib은 Crizotinib보다 BBB 투과성이 높아 뇌전이 치료에 더 효과적임.
4. MET, BRAF, HER2 TKI
표적 치료제표적BBB 투과율CSF/혈장 농도 비율뇌전이 치료 효과뇌막전이 치료 효과
Capmatinib (Tabrecta) | MET | 중간 | 데이터 부족 | 제한적 | 연구 중 |
Tepotinib (Tepmetko) | MET | 중간 | 데이터 부족 | 제한적 | 연구 중 |
Dabrafenib + Trametinib | BRAF | 높음 | 데이터 부족 | 뇌전이 치료 효과 있음 | 연구 진행 중 |
HER2 TKI (Tucatinib 등) | HER2 | 중간~높음 | 데이터 부족 | 연구 진행 중 | 연구 진행 중 |
📌 **Dabrafenib + Trametinib (BRAF 억제제)**는 뇌전이 폐암 환자에서도 효과적임.
5. 표적치료제별 뇌막전이(Leptomeningeal Metastasis, LM) 치료 가능성
치료제뇌막전이 치료 효과
Osimertinib (EGFR) | ✅ 입증됨 |
Lorlatinib (ALK) | ✅ 입증됨 |
Alectinib (ALK) | ⚠ 가능성 있음 |
Entrectinib (ROS1) | ⚠ 연구 중 |
Dabrafenib + Trametinib (BRAF) | ⚠ 연구 중 |
Crizotinib, Gefitinib, Ceritinib | ❌ 효과 없음 |
📌 뇌막전이 치료에는 **Osimertinib(EGFR)과 Lorlatinib(ALK)**이 가장 강력한 효과를 보임.
📌 결론
- BBB를 가장 잘 통과하는 약물
- Osimertinib(3세대 EGFR TKI) (Tagrisso , 타그리소)
- Lorlatinib(3세대 ALK TKI) ( Lorviqua 로비큐아)
- Entrectinib(ROS1 TKI)( Rozlytrek 로즐리트렉)
- Dabrafenib (Tafinlar , 타핀라 ) + Trametinib(BRAF TKI) ( Mekinist , 메키니스트)
- 뇌전이 치료 효과가 뛰어난 약물
- EGFR 변이: Osimertinib(Tagrisso) 타그리소
- ALK 변이: Alectinib(Alecensa, 알레센자), Lorlatinib(Lorbrena, 로르브레나 )
- ROS1 변이: Entrectinib( Rozlytrek 로즐리트렉)
- BRAF 변이: Dabrafenib(Tafinlar , 타핀라 )+ Trametinib( Mekinist , 메키니스트)
- 뇌막전이 치료에 효과적인 약물
- Osimertinib (EGFR 변이) (Tagrisso , 타그리소)
- Lorlatinib (ALK 변이) (Lorviqua 로비큐아)
✅ 뇌전이 또는 뇌막전이가 동반된 폐암 환자에서는 3세대 TKI가 가장 효과적인 선택지임.
✅ EGFR 변이 환자는 Osimertinib, ALK 변이 환자는 Lorlatinib이 최선의 선택.
🔎 추가 질문
Q1. 뇌전이 환자에서 표적치료제와 방사선 치료(SRS, WBRT) 병용 효과는 어떠한가?
Q2. Osimertinib과 Lorlatinib의 실제 임상 연구 결과에서 뇌전이 환자의 생존율 향상 효과는 어느 정도인가?
Q3. 뇌막전이 환자에서 TKI 단독 치료와 항암제(IT MTX 등) 병용 치료의 차이점은?
'Chatgpt에게 물어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뇌전이 폐암 환자의 정위적 방사선 수술(Stereotactic Radiosurgery, SRS) (Chatgpt) (0) | 2025.02.13 |
---|---|
뇌전이 폐암 환자에서 표적치료제(TKI)와 방사선 치료(SRS, WBRT) 병용 효과 및 부작용 분석(Chargpt) (0) | 2025.02.13 |
Next Steps After Resistance to Tagrisso (0) | 2025.02.11 |
EGFR C797S 변이 발견 시 4세대 EGFR-TKI의 개발 현황 (0) | 2025.02.11 |
EGFR C797S 돌연변이 발견 시 치료 전략 (0) | 2025.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