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목해야 할 유전자 변이
1. EGFR C797S : 타그리소 내성에 대한 연구는 주로 이 유전자를 타겟으로 연구하는 것 같다.
* 신약개발 현황
지난 8년 동안 많은 약들이 임상에 들어 가고 시판까지 되었다가 퇴출되는 것을 보았다.
따라서 뉴스에 나오고 논문이 나온다고 크게 기대를 걸지는 않지만 그래도 추이를 관찰하기는 해야 한다.
1. JNJ-61186372 (JNJ-372) Amivantamab : www.medicaltimes.com/Users/News/NewsView.html?ID=1126834 얀센에서 개발중, 타그리소 내성을 위한 약, EGFR과 cMET 리셉터 구성된 항체약
* JNJ-61186372 (JNJ-372)에 관한 최신 논문 : 논문 저자들의 소속을 보면 우리나라 다양한 의료기관에 종사하고 있다.
https://cancerdiscovery.aacrjournals.org/content/10/8/1194#sec-4
같은 논문 요약
https://cancerres.aacrjournals.org/content/80/16_Supplement/5199
JNJ-61186372 (JNJ-372) (Amivantamab)의 최신 논문(2020.8)
https://pubmed.ncbi.nlm.nih.gov/32414908/
JNJ-61186372 (JNJ-372) (Amivantamab) 임상 현황(2021.3.)
얀센의 최근 논문
임상 현황 : 2021년 말에 어느 정도 결과가 나온다.
https://clinicaltrials.gov/ct2/show/NCT02609776
https://www.docdoc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08787 (2023.08.19)
오는 30일 예정된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암질환심의위원회(이하 암질심)에 EGFR 엑손 20 삽입 변이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리브리반트(성분명 아미반타맙)'와 '엑스키비티(성분명 모보서티닙)'가 동시에 상정될 것으로 알려지며, 국내 희소 폐암 환자들에게 단비 같은 소식이 전해질 수 있을지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2. BBT-176 :
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9156 브릿지바이오에서 개발 중
타그리소 내성을 위한 약, EGFR C797S 타겟, 우리나라 기업이다.
http://www.hi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8677 (2023.9.26.)
혁신신약 연구개발 전문기업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대표 이정규)는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후보물질 'BBT-176(개발코드명)' 및 안저질환 치료제 후보물질 'BBT-212'의 개발 중단을 최종 결정했다고 26일 공시했다.
3. Brigatinib : en.wikipedia.org/wiki/Brigatinib
이 약은 위키에서 찾은 약이며 EGFR C797S변이와 Alk 변이가 있는 경우에 쓰는 것 같다.
4. Poziotinib : 이 약은 EGFR or HER2 exon 20 변이가 있는 환자가 타겟. 한미약품 개발 중
Patients analyzed in this presentation were those treated in cohort 1 of the trial, which included patients with previously treated EGFR-positive NSCLC. Patients receiving treatment in cohorts 2 through 4 of the trial include those with and without prior therapy and all patients’ tumors had either EGFR or HER2 exon 20 insertions.
http://www.mo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18310 (2023.01.03)
한미약품은 2022년 11월 미국 파트너사 스펙트럼이 FDA로부터 “현 시점에서는 포지오티닙을 승인할 수 없다”는 내용의 CRL(Complete Response Letter)를 수령했다고 밝혔다.
https://pubmed.ncbi.nlm.nih.gov/36958688/ (2023.3.21)
Poziotinib was found to have clinically meaningful efficacy with a manageable toxicity profile for patients with treatment-naive NSCLC harboring HER2 exon 20 mutations.
5. Dacomitinib( 비짐프로 ):
en.wikipedia.org/wiki/Dacomitinib 타그리소를 대체할 약인 것 같다. 비가역적 효과를 나타낸다.
비짐프로라는 이름으로 출시되었다.
6. Vactosertib : ATP-competitive activin receptor-like kinase 5 (ALK5) inhibitor
단일 사용보다는 면역항암제(키트루다, 티센트릭)와 병용 요법으로 사용할 경우 효과가 올라가고 PDL1 수치가 낮아도 효과가 있단다.
www.medpacto.com/kor/m/page/s2/s2.php
www.koreabiomed.com/news/articleView.html?idxno=6789
7. 보로노이의 폐암약 개발 ( VRN110755(VRN11) ): Exon 20 Insertion mutation
엑손 20에 유전자 변이 타켓으로 하는 약이란다.
www.mk.co.kr/news/it/view/2020/10/1075500/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3081815070363143 (2023.8.18)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articleId=AKR20231026143700017 (2023-10-26)
신약 개발 기업 보로노이[310210]는 26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VRN11 임상 1상 시험계획을 승인받았다고 밝혔다.
보로노이는 삼성서울병원 등 한국 4개 기관을 시작으로 대만과 미국 등 10여개 기관에서 50명 내외 비소세포폐암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을 진행할 예정이다.
회사는 이번 임상을 통해 타그리소 등 기존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EGFR) 돌연변이 비소세포폐암 치료제에 대한 약물 내성으로 발생하는 EGFR C797S 변이 암 환자에 대한 VRN11의 효과를 확인할 것으로 기대했다.
* 타그리소 내성에 대한 기사
1. 타그리소 평균생존기간(1차 약)
www.biospectator.com/view/news_view.php?varAtcId=8584 위의 논문을 한글로 옮긴 기사.
2019.10. 기사로 타그리소를 1차 약으로 사용한 환자의 평균 생존 기간이 38.6 개월이란다.
생각보다 길다. 보통 3차약으로 사용할 경우 내성이 오는 기간이 1년으로 알고 있었다.
그런데 결국 3차약으로 쓴 경우 그동안 이레사를 먹는 동안 생존했으니 전체 생존 기간은 비슷한 건가?
2. 타그리소와 아스피린
타그리소를 아스피린과 함께 복용하면 내성을 줄일 수 있다는 논문인데 실제 임상 시험을 한 것이 아니라 진료 데이터를 보고 후향적 조사를 한 것이므로 어느 정도 타탕성이 있는지 의문이 들기는 하다.
pubmed.ncbi.nlm.nih.gov/32239624/
타그리소와 아스피린에 대한 연구는 몇 년 전부터 가능성을 제기한 정도의 몇몇 논문이 있기는 했다.
3. Activation of insulin-like growth factor-1 receptor confers acquired resistance to osimertinib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with EGFR T790M mutation
Conclusions: IGF1R activation could occur following treatment with osimertinib in EGFR-mutant NSCLC with T790M mutation, and might be one of the mechanisms underlying osimertinib resistance. Combined treatment of osimertinib and IGF1R inhibitor might be effective in overcoming the acquired resistance to osimertinib induced by IGF1R activ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