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4.22)
이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최명근 교수는 서울아산병원 호흡기내과 최창민 교수, 서울아산병원 종양내과 이재철 교수팀은 오시머티닙 내성 폐암 세포주를 사용한 인간 면역화 CDX 마우스 모델 13마리와 EGFR 변이 비소세포 폐암 환자 12명을 등록해 동물 실험과 I/IIa상 임상 연구를 동시에 진행했다.
그 결과, 동물 실험에서 NK세포치료제와 세툭시맙 병용요법을 한 그룹의 종양 부피가 가장 줄었으며, 추출된 종양에서 NK세포 침윤을 확인했다.
https://medicalworldnews.co.kr/news/view.php?idx=1510960658
논문원문
https://pubmed.ncbi.nlm.nih.gov/38538093/
Results: In the non-clinical study, an increase in NK cells in the blood and enhanced NK cell tumor infiltration were observed in the SNK01 group. The volume of tumor extracted after treatment was the smallest in the combination group. In the clinical study, 12 patients (median age, 60.9 years; all adenocarcinoma cases) received SNK01 weekly for 7-8 weeks (4×109 cells/dose (n=6); 6×109 cells/dose (n=6)). The maximum feasible dose of SNK01 was 6×109 cells/dose without dose-limiting toxicity. Efficacy outcomes showed an objective response rate of 25%, disease control rate of 100%, and median progression-free survival of 143 days.
Conclusion: SNK01 in combination with cytotoxic chemotherapy, including cetuximab, for EGFR-mutated NSCLC with TKI resistance was safe and exerted a potential antitumor effect.
'신약개발 소식, 해외 논문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암세포를 정상세포로…韓 암치료 신기술 개발 (1) | 2024.12.28 |
---|---|
96% 높은 정확도로 암 유전자 `콕`…암 조기 진단 재발 모니터링 활용 (1) | 2024.11.13 |
유전자가위 활용해 혈액에서 암 관련 유전자를 고감도로 검출하는 ʻSCOPEʼ 진단플랫폼 개발 (1) | 2024.11.13 |
타그리소 VS 레락자 (0) | 2024.09.13 |
제3세대 EGFR TKI 개요설명 (0) | 2024.09.11 |